봉군 선조

본문 바로가기

방문자수

오늘 68
어제 205
최대 579
전체 108,972
전체
메뉴

봉군 선조

HOME > 봉군 선조

봉군 선조

봉군선조(封君先祖)

 

봉군(封君)이란 옛날 임금의 아들이나 종친 또는 나라의 공신들에게 내렸던 작호로써 임금의 적자에게는 대군(大君)으로 봉하고 임금의 서자 또는 2품 이상의 종친과 공신에게는 군(君)으로 봉했다. 그리고 임금의 장인 또는 정1품의 공신에게는 부원군(府院君)이라 봉했으며 받는 사람의 본관 지명을 앞에 붙여 지은 것이다. 그 지명이 같은 부원군이 많이 나올 때는 옛날의 지명이나 혹은 다른 글자로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우리 순흥안씨의 가문은 왕의 종친이 아니라 주로 공신(功臣)으로 봉작을 받았으니 임금의 종친들이 당연히 받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따라서 우리 순흥안씨의 봉군선조는 대단한 어른들이고 그 명예를 우리는 존중해야 할 것이다.

 

우리 순흥안씨의 봉군선조는 20분으로 대개 문자(文字) 시호 또는 문외(文外) 시호를 받은 선조로서 이미 설명이 되었음으로 여기에서는 이름만 열거하고 설명되지 않은 선조만을 설명한다.

 

번호

봉군(封君)

휘(諱)

시 호

世 派

1

순평군(順平君)

우기(于器)

문순공 (文順公)

5세 1파

2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

문개(文凱)

문의공(文懿公)

5세 2파

3

순흥군(順興君)

목(牧)

문숙공(文淑公)

6세 1파

4

순성군(順城君)

천선(千善)

양정공(良定公)

6세 2파

5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축(軸)

문정공(文貞公)

6세 3파

6

순흥군(順興君)

집(輯)

6세 3파

7

순성군(順城君)

원숭(元崇)

문혜공(文惠公)

7세 1파

8

죽성군(竹城君)

원형(元衡)

문혜공(文惠公)

7세 1파

9

탐진군(耽津君)

원린(元璘)

문렬공(文烈公)

7세 1파

10

순성군(順城君)

손주(孫柱)

경혜공(景蕙公)

7세 2파

11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종원(宗源)

문간공(文簡公)

7세 3파

12

오성군(鰲城君)

우(祐)

문충공(文忠公)

8세 1파

13

흥녕군(興寧君)

면(勉)

문정공(文靖公)

8세 1파

14

안원군(安原君)

처(處)

 

8세 1파

15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경공(景恭)

양도공(良度公)

8세 3파

16

영원군(寧原君)

숭직(崇直)

 

10세 3파

17

순흥군(順興君)

당(瑭)

貞敏公

12세 1파

18

순계군(順溪君)

세복(世復)

 

16세 1파

19

순양군(順陽君)

몽윤(夢尹)

 

17세 1파

20

순원군(順原君)

응창(應昌)

 

18세 1파

21

무양군(武陽君)

언봉(彦鳳)

 

18세 1파

 

 

1) 영원군(寧順君) 안숭직(安崇直) 선조

공은 시조공의 10세로써 정숙공 안순(安純)의 맏아드님으로서 자는 군원(君原)이고 벼슬은 판내자사를 지냈으며 영원군으로 봉해졌다. 슬하에 1녀를 두었다.

 

2) 순계군 안세복(安世復) 선조

공은 시조공의 16세로서 참판공파의 대제학을 지내신 종도(宗道)공의 둘째 아드님으로 1570(선조 03, 경오)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풍저창직장(豊儲倉直長)을 지냈고 1590(선조 23, 경인)년에 돌아가시니 보조공신 좌찬성으로 추증되었고 순계군(順溪君)으로 봉군 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용인에 있다.

 

3) 순양군 안몽윤(安夢尹) 선조

시조공의 17세로서 순계군(安世復)의 둘째 아들이다. 자는 상경(商聊)이며, 1594년(선조 갑오)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선조 32년에 부장으로서 창덕궁을 호위했으며 그 후 남포현감(南浦縣監)을 역임했다.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 원수 장만(元帥 張晩)의 전부우협장(前部右協將)으로서 군량보급에 힘쓰고 안현(安峴) 싸움에서 공을 세워 분위진무공신(奮威振武功臣)이 되고 순양군(順陽君)에 봉해 졌다.

그 후 중화부사(中和府事), 인동부사(仁同府事), 전라도 수군절도사 부총관, 지중추부사 등을 지내시고 숭정대부 지중추부사 도총관에 이르렀다.

1650년에 돌아가시니 우의정으로 증직되셨고 순양군으로 추봉되었다. 슬하에 선산부사 응창(應昌) 등 5형제를 두셨다. 묘소는 미조현 선영 국내에 있고 신도비가 있다.

 

4) 순원군 안응창(安應昌) 선조

공은 시조공의 18세로서 자는 흥숙(興淑)이며 호는 백산(栢山) 우졸재(愚拙齋)이시다. 문간공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학문이 깊었다. 의성현령을 지냈으며 음보로 선산부사에 올랐으며 학행으로 천거되어 봉림대군의 사부(師傅)가 되었으며 병자호란으로 봉림대군이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갈 때에도 동행하였다.

공은 ≪추원록≫, ≪청교묵담(靑郊墨談)≫ 등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1680(숙종 06, 경신)년에 돌아가시니 한성부좌윤으로 증직되고 순원군(順原君)으로 봉군 되었다. 묘소는 선고 순양군의 묘소 뒤편에 있다.

순원군은 우리 종사의 기틀을 마련하신 훌륭한 선조로 높이 받들어야 할 분이다. 공은 350여 년 전에 순흥 관향지의 향려단(鄕閭壇), 추원재(追遠齋)의 창건, 영모암의 개수, 추밀공 묘소 정화, 사현정(四賢井)비 건립, 참판공 묘 표석 찬지(撰誌), 서파공(西坡公)행장 편찬, 순흥안씨 기해보 편찬 등 우리 순흥안씨를 위한 위선사업에 크게 공헌하신 선조이시다.


Copyright ⓒ 순흥안씨찬성공파종회 Corp. All Rights Reserved.
수단 이메일 :  shcan21@naver.com
수단 우편 주소 :  서울 영등포구 양산로 57-5 이노플렉스 704호  (우)07271
수단 전용 팩스 :  02-2633-4167
수단비 입금계좌 :  농협 301-0265-8092-71  예금주 순흥안씨찬성공파종회
제작 : 뿌리정보미디어 02)716-1521, 716-0790  www.yesjokbo.com